의사도 모르는 필러의 비밀, 필러 뼈패임, 필러 맞지 마라 - 진실과 거짓, 필러 부작용
안녕하세요?
피부과전문의, 서울대 피부과학 박사 닥터 샤샤샤 입니다.
최근 필러 시술에 관한 문의가 많이 와서요.
공부도 할겸 논문을 좀 읽었습니다.
필러는 흡수되지 않고 100% 몸에 남는다.
남는 필러가 흘러내리고, 얼굴이 망가진다. 결국 절대 자신의 얼굴로 돌아갈 수 없다.
뼈가 패이는 부작용이 있다.
라는 질문을 많이 주시는데요.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1. 필러는 흡수되지 않고 100% 몸에 남는다.
이 논문을 근거에 두고 있습니다.
논문의 시작은 이렇습니다.
필러는 원래 6개월에서 1년간다고 하는데, 임상적으로 더 오래 지속되는 경우가 있는 것 같다.
특히 bolus로 주입할때 그렇다.
왜 그런지 알아보자!
자 여기서 bolus injection 이란, 그림 C 에 해당하는 것으로, 필러를 한덩어리로 놓고 나오는 것 입니다.
그 외에도
threading 이라고 해서 길게 선형으로 놓는 방법
depot 이라고 해서 점점히 놓는 방법
fanning 이라고 해서 부채살 같이 놓는 방법
cross-hatching 이라고 해서 격자무늬로 놓는 방법등이 존재합니다.
이논문의 그림이 가장 인상적인데요.
bolus로 넣고 나오면, 64주 - 1년이 넘어도 필러가 남아 있다고 주장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필러는 위의 MRI 영상에서 하얗게 보이는데요.
하얀 신호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흐려지고, 회색에서 검은색으로 변하고 있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필러는 녹고, 사라집니다.
그러면 필러놓은 부위에 검은색으로 바뀐 부분은 뭘까요?
조직검사 사진 보시면, 무엇인지 알 수 있습니다.
필러는 원래 연보라색 물질인데요.
그 사이사이에 붉은색선 (콜라겐, -> 화살표) 과 하얀색 동글동글한 물질 (지방세포, <- 화살표) 가 증식되어서, 자가 세포로 변환된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필러는 주입하면 나중에 완전히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자가 조직으로 변환되어 어느정도 볼륨이 남게 됩니다.
원래 필러라는 물질이 자가 조직이 부족한 부분을 채우기 위해 존재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렇게 자가조직으로 대체되어 볼륨이 남는 현상은 오히려 긍정적이라고 하겠습니다.
ps. 볼륨이 75% 남았다는 것은 bolus injection 했다는 것이 가장 중요할 것입니다.
bolus 로 넣고 나오면, 가운데 부분에 있는 필러는 hyaluronidase라는 우리몸에 HA 필러를 녹이는 효소에 노출될 확률이 적고, 그럼 볼륨을 오래 유지할 수 있기에, 자가 조직으로 대체되는 양이 많아집니다.
하지만 점점히 놓거나, 선형으로 놓게 되면 bolus로 넣은 것보다 훨씬 더 적은 볼륨으로 남거나 사라지게 될것입니다.
ps. 몸에 100% 남는 다고 하면, 이마 필러를 하고 나서 볼륨이 줄어, 다시 맞는 환자들은 없겠죠? ;;;
(이마 필러는 fanning 방법을 많이 사용합니다.)
그렇다고 그게 흘러 내려가 눈썹위에 뭉쳐 있냐면... 그것도 아닙니다.
이마 필러를 하고 시간이 지나서 내원하는 환자들은 눈썹 위에 부분부터 볼륨이 줄어듭니다.
근육 움직임이 많은 부위는 아무래도 필러가 좀더 빨리 소실됩니다.
설탕을 물에 넣고 그냥 두는 것보다
설탕을 물에 넣고, 저어주는 것이 더 빨리 녹는다 라고 생각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아래는 논문 내용입니다>
배경 : 안면 주름 치료 후 피하 주사 된 히알루 론산 필러는 6 개월에서 1 년에 걸쳐 흡수되기 때문에 빈번한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히알루 론산 충전제가 안면 확대를위한 볼루스(bolus)로서 주사 될 때 지속적인 장기 효과가 임상 적으로 종종 관찰됩니다. 따라서 저자들은 히알루론산의 피하 볼루스 주사의 부피 및 조직 학적 특징의 변화를 조사했습니다.
방법 : 히알루 론산 필러를 6 주령 래트(rat)의 배면(등쪽)에 볼루스로 피하 주사 하였습니다. 여러 시점 (주사 직후 및 그 후 4, 8, 16, 32 및 64 주)에, 형태 학적 변화를 관찰하고 부피를 측정하기 위해 자기 공명 영상이 도입되었습니다. 단면 조직의 조직 학적 검사도 수행되었습니다.
결과 : 평균 용량은 주사 후 최대 4 주 동안 증가한 후 점차 감소했으며, 64 주 후에도 주입 된 부피의 74.8 %가 초기 부피와 비교하여 통계적 차이없이 남아있었습니다. 조직 학적 분석 결과, 섬유 모세포 및 콜라겐 섬유에 의해 격자 구조가 생성되었고, 혈관 및 지방세 포도 필러에서 생성되었다.
결론 : 히알루론산 필러의 피하 볼루 주사는 평탄화 (flattening)를 보였지만, 총 부피는 64 주 후에도 유지되었다. 조직 학적으로, 히알루 론산 필러는 섬유 모세포 이동 및 증식, 콜라겐 유도 및 혈관 형성에 의해 자가 조직 대체를 위한 스캐폴드(scaffold)로서 작용하고,이어서 지방 세포의 증식을 수행 하였다. 이 연구는 주사 된 히알루 론산 필러의 일부를 자가 조직으로 대체함으로써 총 부피가 장기간 유지됨을 입증합니다.
2. 남는 필러가 흘러내리고, 얼굴이 망가진다. 결국 절대 자신의 얼굴로 돌아갈 수 없다.
문제는 필러가 남아서 얼굴 밑으로 흘러 내린다는 것인데요....
여러번 말씀 드리지만, 얼굴 피부 안쪽은 위의 그림과 같이 지방구획이 나눠져 있습니다.
그래서 그 분획 내에서 어느정도 이동은 가능하지만, 앞볼에 넣은 필러가 흘러내려가서 불독살로 가지는 않습니다.
중력의 영향을 받아서 이동을 한다면, 쥐의 등에 놓은 필러는 결국 1년뒤에 배쪽으로 가 있어야 할것인데.... 그렇지 않은것을 위의 그림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사진은 두번째 논문에서 나와 있는 내용인데요.
쌍커풀이 쳐져서 내원한 환자 이마 주름이 심한것을 발생겼습니다. (위에사진)
그래서 상꺼풀 수술을 진행했구요 (중간사진)
1년뒤에 내원하였을때, 필러가 놓은 자리가 주름이 잘 펴진채로 유지되는 것을 발견했습니다.(아래사진)
(1년뒤에 내원하였는데, 필러가 흘러내려서... 눈썹위로 몰리거나 하는 것은 관찰되지 않네요....)
그래서 피부의 탄력성을 회복시키고, 잔주름을 해결하는데, 필러를 사용할 수 있겠다. 라는 것이 이 논문의 내용입니다. 이전까지 필러는 부족한 볼륨을 채워주는데 중점을 두었다면, 이논문에서 필러는 콜라겐 형성을 자극하는 물질로 사용할 수 있겠다라고 말하는 것입니다.
<아래는 논문 내용입니다>
요약 : 점탄성 손실은 주로 피부 노화의 징후 중 하나이며 눈에 보이는 주름이 나타납니다. 히알루 론산 (HA) 기반 필러는 주름을 채우고 부피 손실을 보상하는 데 널리 사용됩니다. 최근의 임상 관찰은 필러의 생물학적 이용 가능성보다 더 긴 충전 효과의 지속성을 입증합니다. 가교 된 HA에 의한 새로운 콜라겐의 자극 및 엘라스틴의 상향 조절이이 관찰에 대한 가능한 설명으로서 제안되었으며 실험적으로지지되었습니다.가교 된 HA는 콜라겐 및 엘라스틴 생산과 같은 섬유 모세포의 정상적인 활성에 필요한 세포 외 매트릭스를 복원함으로써, 분절된 콜라겐을 대체한다.
세포 외 기질을 효율적으로 회복시키기 위해서는 한달 주기의 치료가 여러번 필요합니다. 섬유 아세포 활성화를 통한 안면 및 비안면 피부 강화는 HA 기반 제품에 대한 새로운 적응증입니다. 주사 가능한 HA는 최근 유럽에서 피부결 개선을위한 제제로 등록되었습니다. 이논문의 장기적인 임상 예들에의해 지지되는 메커니즘의 설명을 소개합니다.
3. 뼈가 패이는 부작용이 있다.
논문에 나오는 뼈가 패이는 부작용 CT 사진입니다.
필러로 인해서 뼈가 패였다고 하는데......
턱끝 필러를 맞아보신 분은 아시겠지만, 저 부위는 턱끝 필러가 들어가는 위치가 아닙니다.
턱끝 필러는 주로, midline 중앙부에 필러를 많이 위치시킵니다.
그리고 말랑말랑한 젤 같은 필러가 뼈를 패이게 했다는 것도 이상하구요.
논문에 나와 있다 싶이, 여러가지 턱끝 보형물에 의한 뼈의 패임은 많은 보고가 있고, 당연히 생기는 것을 모든 의사가 알고 있습니다.
이렇게 타원형 모양의 보형물이 잘 못 위치하면, 정확히 그 모양대로 뼈가 패입니다.
길쭉한 보형물의 위치가 잘못 위치되면, 길쭉한 모양대로 뼈가 패입니다.
인과관계를 생각할때, 어떤 물질에 의하여 뼈가 패였다고 한다면,
1. 그 모양 그대로 뼈가 패입니다.
2. 또한 그 경계가 아주 날카롭습니다.
그러나 논문에서 주장하는 뼈가 패였다는 사진은
1. 필러가 위치하는 곳과 다릅니다.
2. 샤프간 마진을 주지 않고, 부드러운 경계를 보입니다.
그럼 거 패임은 무엇일까요?
논문에서도 가능성이 언급되었는데요.
저부위는 mentalris 라고 하는 턱끝의 근육이 기원하는 자리입니다.
정상인의 3D CT 사진을 보시면
어느정도 그부위에 홈이 있구요.
이 사람처럼 좀더 깊은 사람도 있습니다.
본인의 얼굴을 보면 아시겠지만, 뼈의 모양은 굉장히 변이가 많고, 모두가 비대칭입니다. (저도 그렇습니다.)
그렇다면, 저 사진은 정상적인 변이중 하나가 아닐까 하는 것이 저의 생각입니다.
(성형외과 교수님 말씀으로는 CT 모양이 이물질에 의한 패임 같기는 하다고도 합니다) by 명가
그러나 필러에의해서 뼈가 패였다는 것은 아직까지 정설로 받아지지는 않습니다.
저와 제 가족에게 추천하지 않은 시술을 환자분들에게도 추천하지 않습니다.
지난번 포스팅에서도 말했다 싶이, 과한 용량을 맞으시는 것을 지양하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필러 시술로, 자연스러운 아름다움 가지시길 바랍니다.
이만 마치겠습니다.
ps. 글이 너무 길어졌네요. 죄송합니다 ;;;
ps. 궁금하신 점 비밀댓글 부탁드립니다.
ps. 잘못된 정보로 고민하시는 분들에게 글 보여주시길 부탁드립니다.